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친 애국 선열과 국군 장병들의 넋을 위로하고, 충절을 추모하기 위하여 정한 기념일인 제56회 현충일을 맞아 서울국립현충원에서 열린 추념식을 취재하고 현충원을 돌아보았습니다.
전사자발굴사업은 625전쟁당시 나라를 위해 하나밖에 없는 목슴을 바쳤으나 미처 수습되지 못한 채 아직도 이름모를 산야에 호롤 남겨진 13만여 위 호국용사들의 유해를 찾아 국립현충원에 모시고 있는 국가적 숭고한 호국보훈사업입니다.
이명박대통령께서도 추념식이 끝난 후 현충원 내에 있는 ‘국방부 유해발굴 감식단’을 직접 찾아 격려하면서, “최후의 한 사람까지 끝까지 찾아야 한다. 남북통일이 되면 북에서도 찾고, 최후의 한 구까지 끝까지 찾아야 한다”라며 유해발굴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순국선열 및 호국영령에 대한 묵념>
<다시 부르는 영웅(Roll Call)>
현충탑 내부에 설치된 위패봉안관의 모습입니다. 위패봉안관은 총면적 693㎡으로, 벽면 369.6㎡, 높이 4.1m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영현승천상 지하에는 면적 148.5㎡의 무명용사 봉안실이 있고 현충탑 동문 근처에 높이 3m, 폭 2.6m의 크기로 부부위패판을 운영되고 있었습니다.
<60만에 나란히 안장된 이민우,이천우 호국형제의 묘>
국립현충원은 국민이 쉽고 편안하게 접근하여 순국선열을 추모하고 휴식할 수 있도록 아름다운 호국시민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었습니다.
6월 6일 현충일은 범정부적인 추모행사를 전국적으로 거행함으로써 온 국민이 국가를 위하여 헌신․희생하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그 위훈을 기려 국민의 애국정신을 고취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날입니다.
하루 조기를 다는 일마저 잊혀져가는 현충일을 반성하고 호국의 달 6월에는 평화의 소중함과 더불어 호국영령과 순국순열의 희생정신을 다시 한번 되새겨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임영식기자 <국방홍보원 블로그 어울림 기자단>
'지난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지만 강한 해병대의 상륙훈련, 결정적 행동의 현장에서.... (3) | 2011.06.09 |
---|---|
국립국군교향악단의 아름다운 하모니를 듣다! (3) | 2011.06.09 |
민.관.군이 함께 하는 현충원 추념식! (0) | 2011.06.07 |
현충일, 전쟁기념관 그림그리기 대회 (0) | 2011.06.07 |
현충일에는 우리모두 조기(弔旗)를 답시다 !! (0) | 2011.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