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자료/국방일보

국방부 -미래부, 한국형 탈피오트 <이스라엘 과학기술 엘리트 장교 육성 프로그램> 제도 도입

국방부 -미래부, 한국형 탈피오트

<이스라엘 과학기술 엘리트 장교 육성 프로그램> 제도 도입


과학기술 전문사관 올해부터 매년 20명 모집

 사이버정보보호 인력 육성도 협조

 

<김관진(오른쪽) 국방부 장관과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4일 국방부에서 직접 만나 ‘과학기술 및 사이버 분야 전문인력 양성과 활용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의견을 나누고 있다. 국방일보 홍승완 기자>

 

  국방부와 미래창조과학부(미래부)가 손잡고 한국형 탈피오트(Talpiot)인 과학기술 전문사관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김관진 국방부 장관과 최문기 미래부 장관은 4일 국방부에서 직접 만나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과학기술 및 사이버 분야 전문인력 양성과 활용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부처는 이번 협약에 따라 국방과학 관련분야 교육을 이수한 우수인재 중 매년 20명을 선발해 ‘과학기술 전문사관’으로 임관하고 사이버 정보보호 인력 양성에도 협조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 국방부는 4일 “국방과학 분야 이공계 우수인재와 최정예 정보보호 전문인력의 양성과 군 복무, 전역 후 취업과 창업을 연계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방침”이라며 “우수인재의 선발·양성·활용의 전 과정에서 미래부와 협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이들이 장교로 임용되면 국방과학연구소(ADD) 연구인력 등으로 복무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미래부는 과학시설 전문사관 양성과정을 설치·운영하고, 우수인재 지원 유도를 위한 학비지원 등 장려대책을 마련한다. 국방부는 우수인재 선발과 임용자격 검정을 위해 후보생 선발과정에 협력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우수인력의 지원을 유도하기 위해 취업 희망자에 대해 방산 분야 취업정보를 제공하고 개인 희망에 따른 맞춤형 지원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미래부도 새로 도입되는 제도를 통해 배출된 인력이 군 복무를 마치고 사회에 진출할 때 대학원 진학, 취업 또는 창업을 위한 다양한 지원방안을 운영하기로 했다.

 탈피오트는 이스라엘의 과학기술 엘리트 장교 육성 프로그램으로 우수인재를 선발해 군 복무 동안 다양한 기술 분야를 연구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이 특징이다. 탈피오트 제도를 통해 배출된 인력은 소수지만 이스라엘의 벤처 업계와 학계에서 큰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아울러 국방부와 미래부는 사이버 정보보호 인력 양성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이번 협약에 따라 미래부의 ‘최정예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양성된 전문인력을 군의 사이버 정보보호 부사관·병으로 복무시키기로 했다.

  미래부에 따르면 오는 4월까지 소요인력, 선발방식, 교육과정 등 사이버 전문인력 세부 운영방안을 국방부와 협의하고, 10월 중 교육과정 개발을 완료할 방침이다. 그에 따라 내년부터 선발ㆍ양성되는 사이버 전문인력은 오는 2016년 처음으로 입대할 예정이다.

  양 부처는 장기적 협력을 확고히 하기 위해 필요시 장관 또는 차관 간 간담회를 실시하고, 국장을 대표로 하는 정책협의회, 과장을 대표로 하는 실무정책협의회를 구성·운영함으로써 향후 협약서에 따른 협력사항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이날 “양 부처가 이공계 우수인재들이 국방력 강화와 더불어 창조경제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군 복무 기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며 “과학기술 및 사이버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우수 인력의 양성과 활용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김병륜 기자 < lyuen@dema.mil.kr >

국방일보 바로가기: 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