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자료

“북, 핵무기로 체제 지킬 수 있다는 생각 버려야”

박근혜 대통령이 26일 오전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천안함 용사 3주기 추모식에서 천안함 용사 영전에 분향하고 있다. 홍승완 기자

 

 

박근혜 대통령 추모사서 강조… “조국 위한 희생,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26일 “북한은 핵무기가 체제를 지켜줄 수 있다는 생각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천안함 용사 3주기 추모식’ 추모사를 통해 “천안함 3주기를 맞아 북한의 변화를 강력하게 촉구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또 “주민들은 굶주림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체제유지를 위해 핵무기 개발에 국력을 집중하는 것은 국제적인 고립을 자초할 뿐”이라며 “핵무기와 미사일, 도발과 위협을 스스로 내려놓고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 변하는 것만이 북한이 생존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역설했다.

 이어 “북한은 더 이상 우리 젊은이들의 희생과 대결의 악순환을 가져오는 도발을 즉각 중지하고,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선순환의 길을 선택해야만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시간이 지나도 우리가 절대 잊지 말아야 하는 것은 조국을 위해 헌신하고 희생한 분들”이라며 “저는 대한민국의 대통령으로서 나라를 위해 희생하고 순직한 용사들의 뜻이 절대 헛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러면서 “아들의 얼굴을 씻기듯 매일같이 묘비를 닦고 계셨던 어머니의 눈물과 아들이 남겨놓은 방을 아직도 정리하지 못하고 계신 아버님의 마음과 천안함 용사들의 유가족 여러분의 아픔을 결코 잊지 않을 것”이라고 유가족들을 위로했다. 아울러 “나라를 지키는 가장 큰 힘은 국민 여러분의 투철한 안보의식과 단결”이라며 “안보 앞에는 너와 내가 다를 수 없고, 여야가 나뉠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용사들이 남긴 고귀한 뜻을 받들어 대한민국을 수호하고 화합과 희망의 미래로 나아가는 새로운 출발점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날 헌화와 분향·추모사·추모공연 등의 순으로 45분 동안 진행된 추모식의 주제는 북한의 도발 위협에 대해 단호히 대처하고 튼튼한 안보태세를 구축한다는 의미에서 ‘숭고한 호국 혼, 지켜갈 내 조국’으로 정해졌다.

 박 대통령은 이에 앞서 천안함 폭침으로 전사한 46명의 해군 용사와 수색구조작업 도중 희생한 고(故) 한주호 준위의 묘역을 참배하고 유족을 위로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 등 전국 34개 도시에서는 시·군별 추모식과 안보결의대회가 개최됐다. 또 전국 31곳에서 천안함 관련 사진 등을 전시하는 안보 특별사진전이 열리는 등 천안함 전사자를 추모하는 행사가 전국적으로 이어졌다.

이주형 기자 < jataka@dema.mil.kr >

국방일보 바로가기 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ntt_writ_date=20130327&parent_no=24&bbs_id=BBSMSTR_000000000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