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발발60주년을 맞아
우리가 지금 이렇게 자유롭게 살고있을수 있는 이유,
또한 아직 전쟁이 끝나지 않은 유일한 정전국가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결코 잊을 수 없는 전쟁.. 잊어서는 안되는 전쟁..
이 땅을 뒤덮은 민족의 비극 6·25전쟁이 터진것이 1950년,
꼭 60년전의 일이다.
6·25는 어떤전쟁인가?
요즘은 아이들 뿐만아니라 젊은이들,
군입대하는 장병들에게 설문조사를 하여도
6·25전쟁이 한국사 최대의 비극이라는것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 만큼 무관심 속에 묻혀있다.
그 전쟁의 중심에 있었던 노병의 이야기..
"대전쟁"이라는 6·25참전기 출판기념회를 찾았다.
그 전쟁현장에 있던 분들을 바라보며
나 또한 잊어버리고 있던,
전쟁의 슬픈 현실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이자리에 있는 분들만이 아닌
"순국선열 - 나라를 위해 목숨의 바친 열사"
"순국선열"그들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고
진심으로 감사한 마음을 가져보았으면 좋겠다.
6·25는 잊혀진 전쟁이 아니라 아직 끝나지 않은 전쟁이라는 것을..
우리가 지금 이렇게 자유롭게 살고있을수 있는 이유,
또한 아직 전쟁이 끝나지 않은 유일한 정전국가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결코 잊을 수 없는 전쟁.. 잊어서는 안되는 전쟁..
이 땅을 뒤덮은 민족의 비극 6·25전쟁이 터진것이 1950년,
꼭 60년전의 일이다.
6·25는 어떤전쟁인가?
요즘은 아이들 뿐만아니라 젊은이들,
군입대하는 장병들에게 설문조사를 하여도
6·25전쟁이 한국사 최대의 비극이라는것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 만큼 무관심 속에 묻혀있다.
그 전쟁의 중심에 있었던 노병의 이야기..
"대전쟁"이라는 6·25참전기 출판기념회를 찾았다.
그 전쟁현장에 있던 분들을 바라보며
나 또한 잊어버리고 있던,
전쟁의 슬픈 현실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이자리에 있는 분들만이 아닌
"순국선열 - 나라를 위해 목숨의 바친 열사"
"순국선열"그들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고
진심으로 감사한 마음을 가져보았으면 좋겠다.
6·25는 잊혀진 전쟁이 아니라 아직 끝나지 않은 전쟁이라는 것을..
글·사진 : 우은정
영상촬영·편집 : 주상현
↓밑에 추천(View on)두 꾹 눌러주세요..*^^*
'지난 자료 > 함께하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신 465주년, 이순신장군 다례행사에 가다. (0) | 2010.04.28 |
---|---|
육군3군단, 특급전사 왕중왕 선발대회 현장 (0) | 2010.04.27 |
안중근 장군의 군인의식을 생각해 보다. (0) | 2010.03.26 |
여자, GOP를 직접 가보다. (11) | 2010.03.04 |
충무공 이순신 장군 잠들어 계신 충절의 고을 (1) | 2010.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