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자료

마음을 바르게하고 덕을 쌓으라!

제주도 취재 시, 공항에 도착 후 몇 시간 정도의 여유시간이 있었다.

이 시간을 어떻게하면 잘 활용할 수 있을까하고 고민하다가 관광안내소의 권유대로 제주시티투어버스를 이용해 보기로 했다.

시간상 모든 곳을 돌아볼 수는 없었고 그래서 택한 곳이 관덕정이었다.

관덕정은 조선시대 병사들의 군사훈련청으로 창건한 것으로 제주도에 있는 전통적인 건물 중 가장 큰 건물이기 때문이다.

제주 시내 한가운데 있는 관덕정은 제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 중의 하나로 많

은 사람들의 만남의 장소가 되고 또는 길을 가르쳐 주는 이정표 역할을 하는 등 제주 사람들에게는 가장 익숙하고 친근한 국가지정 보물 제 322호이다.

이 누정 건물은 『탐라지』에 의하면 조선 세종 30년(1448) 안무사 신숙청이 상무 정신을 함양하고 병사들의 훈련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세웠다고 하며, 성종 11년(1480) 목사 양찬이 고친 뒤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쳤다. 지금 있는 건물은 1969년 보수한 것으로 원래의 건축 수법은 17세기 전후의 것으로 추정한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4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건물은 사방이 탁 트이게 뚫려 있고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새부리 모양으로 뻗쳐 나온 재료를 기둥 위에 두 개씩 짜 놓았다.

관덕정이란 이름은 [사이관덕]이란 문구에서 나온 것으로 활을 쏘는 것은 평화시에는 심신을 연마하고 유사시에는 나라를 지키는 까닭에 이를 보는 것은 덕행으로 태어난 곳이다.

 

관덕정의 편액은 세종대왕의 셋째 아들 안평대군(安平大君)의 글씨였으나 화재로 손실되어 현재의 글씨는 선조때 영의정을 지낸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의 작품인 것으로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이 지은 『남사록』에 의해 밝혀졌으며, 지붕 처마가 긴 것이 특징이었는데 1924년 일본인들이 보수하면서 처마 부분을 많이 잘라냈다.

‘관덕(觀德)’이란 문무의 올바른 정신을 본받기 위해 ‘사자소이관성덕야(射者所以觀盛德也)’에서 따온 말로, 평소에 마음을 바르게 하고 훌륭한 덕을 쌓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제주 관덕정은 제주도의 대표적 누정 건축으로 건축사 연구의 소중한 자료이며 건물 안쪽 대들보와 그 아래에 그려진 십장생도, 적벽대첩도, 대수렵도 등의 벽화는 상당히 훌륭한 작품으로 평가 받고 있다.  

 

 

 

 

 

▲ 대들보아래에 그려진 작자를 알 수 없는 벽화들

 

돌하루방

제주특별자치도 일원에는 민속자료 제2호인 돌하루방을 많이 볼 수 있다.

관덕정에는 관덕정 누정 우측과 딋뜰에 2기가 세우져 있다.

우석목, 무석목 ,벅수머리 등으로도 불려지며  제주목, 정의현, 대정현의 성문입구에 세워졌던 것이다. 현재는 제주대학, 시청, 삼성혈, 관덕정 등 제주시내 21기,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12기, 대정읍의 인성, 안성, 보성 12기 등 도합 45기가 있다. 석상의 형태는 대체로 벙거지형 모자, 부리부리한 왕방울 눈,큼지막한 주먹코, 꼭 다문 입, 배 위 아래로 위엄있게 얹은 두 손의 모습을 하고 있다.

돌하루방의 크기는 평균 신장이 제주 187cm, 성읍 141cm, 대정 134cm이며, 제작연대는 1754년(영조 30)경으로 추측한다.

이 석상은 성문 앞에 세워지며 수호신적(守護神的), 주술종교적(呪術宗敎的), 경계금표적(警界禁標的) 기능을 지녔듯이, 육지의 장승과 같은 역할을 맡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임영식기자 <국방홍보원 블로그 어울림기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