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Space

육군CSI, 육군중앙수사단의 폭발물 감식현장

 

“폭파, 폭파, 폭파!… 꽝!”


2일 오후 3시, 엄청난 폭발음이 경기도 포천시 국방과학연구소 다락대 시험장에 울려 퍼졌다.
육군중앙수사단이 폭발물 현장감식 전문화를 위해 마련한 군경합동 폭발실험 중 승용차 폭탄 테러를 가정한 상황이 연출된 것이었다.
폭발음과 함께 순간적으로 30여m 높이의 불기둥이 솟아올랐고 뒤이어 시커먼 연기가 피어났다.

차량을 폭파지점으로 옮기고 있다.

 

연기가 걷힌 자리엔 원래 있었던 승용차 한 대가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파손돼 있었다. 이 승용차의 파편은 폭발지점을 중심으로 사방 200여m 이상 날아가며 넓은 지역으로 흩어졌다.

 

 

 


폭발 직후 육군중앙수사단과 경찰로 구성된 군경합동 현장감식 요원들이 현장에 투입됐다. ‘폭발 후 현장조사팀(PBI: Post Blast Investigation)’이라고 불리는, 하얀색 부직포로 된 감식복과 마스크를 쓴 군경합동 현장감식 요원들은 3명씩 조를 이뤄 현장감식에 들어갔다.

 

 

 

 우선 통로 개척팀이 조심스럽게 폭발원점까지 접근하는 통로를 만들자 군 폭발물 처리반(EOD) 요원과 군경합동 PBI 요원들이 현장에 들어가 감식작업을 펼쳤다.

 

 

통로 개척팀이 폭발원점까지 접근하는 통로를 구축하고 있다.

 

통로가 구축되면 감식작업을 위해 군 폭발물 처리반(EOD) 요원과 군경합동 PBI 요원들이 투입된다.


군경합동 PBI 요원들은 팀별로 정해진 구역을 따라 꼼꼼하게 현장을 확인하며 증거물들을 수집해 나갔다.
폭파장치의 부속이나 테러용의자가 남긴 지문과 DNA 등 주로 폭발 원인과 용의자 관련 증거들을 수집하는 것이었다.

 

현장증거물들을 수집하는 '폭발 후 현장조사팀(PBI)' 요원

 

군경합동 ‘폭발 후 현장조사팀(PBI)’ 요원들이 폭파된 차량 현장감식을 하고 있다.

 

군경합동 PBI요원들이 현장감식을 위해 사방으로 튀어나간 파편들을 수집하고 있다.

 

발견된 증거물들은 순서대로 번호를 매겨 투명한 플라스틱 컵으로 덮어 놓았다.

 

발견한 증거물을 투명컵으로 덮어놓았다.

 


현장에 있던 육군중앙수사단 5지구 수사대장 최정환 소령은 “아는 만큼 보이고, 아는 만큼 증거를 확보할 수 있다”며 “현장감식 요원들에게 실제 폭발현장을 경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말했다.

한 시간 이상 계속된 PBI 요원들의 현장감식 활동이 마무리되자 3차원 입체 스캐너로 현장을 촬영한 후 발견한 증거물들을 모아 종류별로 분류하는 것으로 이날 일정은 종료됐다.

 

꼼꼼하게 현장을 확인하며 증거물들을 수집하고 있다.


육군중앙수사단은 폭발물질 이용 테러 사건 발생 시 긴급대응을 위한 PBI를 우리나라 최초로 구성하고 폭발물질 확인 및 재구성 등 폭발물 현장감식 능력을 체계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이번 실험을 마련했다. 국내에서 실제 폭발실험과 연계한 현장감식 훈련이 진행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육군과 국방부, 경찰, 대통령 경호실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가한 이번 실험은 테러방지법 제정 등 국내 대테러 활동 관련 수사환경 변화에 따른 폭발물 감식분야 전문성 제고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육군중앙수사단이 준비했다. 차량 3대 등을 폭파하며 진행된 이번 실험에서는 폭발 후 고열에 노출된 지문과 DNA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폭발물질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등 실질적인 폭발물 현장감식 역량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육군중앙수사단은 폭발물 현장감식 요원들이 실제 폭발현장에 대한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감식기법을 모색한 것은 물론 경찰·대통령 경호실 등 유관기관과의 관련 정보교류, 협업관계 형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또 이번 실험 결과를 군 단독 PBI 운영방안 수립이나 대테러 및 폭발물 감식기법 매뉴얼 작성 등 앞으로 군 내 폭발물 현장감식 능력 강화를 위한 로드맵에 반영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