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北 평화 공세에 긴장 늦춰선 안 돼”
“최근 北 평화 공세에 긴장 늦춰선 안 돼”
박근혜 대통령, 중앙통합방위회의 첫 주재
“새로운 전방위 총력안보태세 갖추고 발전시켜야”
<지난 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47차 중앙통합방위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김관진 국방부 장관, 남재준 국정원장(오른쪽부터) 등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진=합참제공>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7일 “최근에는 (북한이) 갑자기 평화공세를 펼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럴 때일수록 긴장을 늦춰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제47차 중앙통합방위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그동안의 경험에서 봤듯이 남북한 관계는 좀 풀려간다 싶으면 바로 어려운 위기가 닥치곤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중요한 것은 말이 아니라 실천이다.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 변할 때까지 우리는 잠시도 경계를 늦춰서는 안 될 것”이라며 “흔들림 없는 확고한 대비태세를 유지해서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고, 만약 도발할 경우에는 단호하게 응징해야 할 것”이라고 지시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북한의 이산가족 상봉 중단 위협과 관련, “북한은 또다시 이산가족들의 가슴에 큰 상처를 줘서는 안 될 것”이라며 “이번 상봉을 잘하는 것을 시작으로 남북 관계의 물꼬가 트이고 평화와 공동발전의 새로운 한반도로 나가게 되기를 바란다”고 희망했다.
그러면서 “최근에는 영토 문제와 과거사 인식으로 동북아 지역에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며 “어느 때보다 민·관·군·경이 하나 되는 통합방위태세가 중요한 시기이고, 국민 모두가 한마음이 돼야 한다. 평화는 굳건한 안보의 토대 위에 선다는 것을 우리 모두가 잊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이어 “현대사회에서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은 전쟁만이 아니라 각종 테러나 사이버공격, 대규모 재난과 같은 비군사적이고 초국가적 영역으로 다양해지고 있다”며 “이제는 위협의 다양한 스펙트럼에 대해서 안보의 모든 요소를 통합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전방위 총력안보태세를 갖추고, 이것을 체계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때”라고 역설했다.
이주형 기자 < jataka@dema.mil.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