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전직교육원 창설 준비
국방전직교육원 창설 준비
2015년부터 취업교육 목표
<백승주 국방부 차관이 9일 국방부 중회의실에서 제대군인 일자리 창출 업무평가회의를 주관해 열고 있다. 국방일보 박흥배 기자>
국방부는 내년부터 전역예정 간부들에 대한 취업지원 교육을 시작할 수 있도록 국방전직교육원 창설을 준비하기로 했다.
또 올해부터 5년 이상 10년 미만 중기(中期)복무 전역군인들에게 최대 50만 원 범위 내에서 개인 취업역량 교육비를 지원한다. 아울러 장기복무 전역군인들에 대한 전직지원 교육 기간을 현재 3~12개월에서 최소 10개월 이상~12개월로 늘리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9일 백승주 차관 주관으로 열린 제대군인 일자리 창출 업무평가회의에서 그같이 올해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지난 한 해 일자리 추진성과를 평가했다. 백 차관은 이날 회의에서 “제대군인 일자리 확보를 위해 각군과 국방부 전 부서가 함께 노력해 전역간부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연초부터 강력하게 추진해 달라”고 당부했다.
국방부는 “취업이 제대군인에겐 최대의 복지”라는 판단 아래 전역예정 간부 교육부터 취업까지 원스톱 지원이 가능한 기관을 목표로 현재 국방전직교육원 창설을 준비 중이다.
국방부는 올해 안에 서울 시내에 국방전직교육원이 들어설 건물을 완공하고, 법적인 설립 근거를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해 국회에서 국방전직교육원법이 입법될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국방부는 아울러 지금까지 주로 복무기간 10년 이상 장기복무 전역군인을 대상으로 이뤄진 취업지원 정책의 대상을 중기복무 전역자로 확대하기로 하고, 취업을 위한 교육비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우선 올해는 전역이 확정된 복무 5~10년 미만 현역 간부들이 취업을 위해 학원 등을 다닐 경우 수강 비용 등을 50만 원 한도 내에서 실비 보상하는 방식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이 밖에 지난해 2개 군단급 부대에서 실시한 취업박람회를 올해는 전 군단으로 확대해 추진할 예정이다. 대학·기업체·공공기관 등과 업무협약 등을 활발히 추진해 전역군인들의 취업지원을 위한 기반도 구축한다.
한편, 이날 업무평가에 따르면 국방부가 지난해 제대군인에게 적합한 일자리 2000개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2217개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군내 주요 확보 직위는 용역관·군무원·근무원 등이며 공공 민간 분야는 비상계획관, 안보자문위원, 지자체·공공기관 일자리, 군 관련 학교의 교수 및 교관, 민간기업의 취업 직위를 많이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차관 주관 회의체인 제대군인 일자리 창출 추진TF를 통해 군무원 직위와 안보자문위원 일자리가 많이 확보됐다.
국방부는 또 제대군인 3000명을 취업지원한다는 목표를 세워 총 4264명을 취업시키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 국방부 관계관은 “국방부와 각군에서 전역군인들을 취업시키기 위해 공공기관·민간기업체 등을 400회 이상 적극 찾아가서 제대군인들의 우수성을 홍보하는 공격적인 취업 세일즈 활동을 전개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김병륜 기자 < lyuen@dema.mil.kr >